교육과정
교과과정
No. | 교과목명 | 학점 | 내용 |
---|---|---|---|
1 | 전공실기1 | 1 |
피아노 음악과 표현, 악기의 특성, 몸의 사용, 작곡가에 대한 이해, 작품의 분석, 피아노 연주 기술을 향상시키고 피아노 음악 예술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도를 높여 아름답게 연주할 수 있다. |
1 | 전공실기2 | 1 |
피아노 음악과 표현, 악기의 특성, 몸의 사용, 작곡가에 대한 이해, 작품의 분석, 피아노 연주 기술을 향상시키고 피아노 음악 예술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도를 높여 아름답게 연주할 수 있다. |
3 | 전공실기3 | 1 |
피아노 음악과 표현, 악기의 특성, 몸의 사용, 작곡가에 대한 이해, 작품의 분석, 피아노 연주 기술을 향상시키고 피아노 음악 예술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도를 높여 아름답게 연주할 수 있다. |
4 | 전공실기4 | 1 |
피아노 음악과 표현, 악기의 특성, 몸의 사용, 작곡가에 대한 이해, 작품의 분석, 피아노 연주 기술을 향상시키고 피아노 음악 예술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도를 높여 아름답게 연주할 수 있다. |
5 | 피아노교수학 논문작성법 |
3 |
음악에 대한 해석, 피아노교수학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며 문헌들을 동시적으로 접근하고 논리적 시각으로 내용을 파악하고 체계적으로 이해하여 음악교육의 기초적 연구방법론을 배운다. 음악연구의 방법들을 파악하고 주제와 연관지어 연구방법을 찾고 이에 맞는 작성법을 찾는다. |
6 | 피아노교재분석 및 개발 |
3 |
피아노 교사에게 가장 핵심적인 기초 교재에 관한 수업으로 유아, 초급, 성인 기초 교재를 선정하며 상세히 분석하고 비교한다. 아울러 학생과 본인에게 적절한 교재를 선택할 수 있도록 기존 교재의 내용 및 필요성을 개발한다. |
7 | 재즈반주법 | 2 | 가요, 뮤지컬, 재즈곡들의 반주법을 익히는 수업으로서 우선 3화음, 7화음, 텐션이 들어간 코드 익히기를 통해 기초를 다지고, 이를 바탕으로 양손으로 코드를 펼치는 방법을 학습한다. 이후 spread voicing, hybrid, poly chord 등을 이용한 고급 반주법을 익혀 실제 곡에 적용해 본다. |
8 | 현대피아노 교수법 및 테크닉 |
3 | 현대 피아노페다고지의 트랜드인 healthtul piano technique를 이해하고 적용한다. |
9 | 초급피아노교수법 및 개론 |
3 |
피아노교사로서 자신의 교육관을 정립하고, 피아노교수법의 역사적 발달과 학습 발달 이론을 바탕으로 한 초급 피아노교수법 교수전략 및 문헌 연구 등을 학습한다. 미취학아동, 취학아동, 성인, 그리고 특수아동을 위한 초급 피아노교수법을 학습하고,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피아노교수법을 통해, 예술융합교육을 통한 피아노교수법을 알아본다. |
10 | 중급피아노교수법 및 문헌 |
3 |
피아노교육은 가르치는 학생의 수준에 따라 초급, 중급, 고급 교수법으로 각기 다르게 접근 되어야 한다. 중급 과정의 학생들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고, 이들을 지도하는데 필요한 주요 레퍼토리에 대해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있다. |
11 | 고급피아노교수법 및 문헌 |
3 | 초급, 중급, 고급 과정 중 피아노 전공생을 대상으로 하는 고급 과정의 피아노문헌에 대한 이론과 교수법을 알아보는 수업이다. |
12 | 건반화성 및 반주법 | 2 | 화성학 전반에 걸친 여러 화성적 진행들을 건반을 통해 직접 연주, 화성인식에 대한 정확성을 높이고 화성적 감각의 범위를 넓히는데 주안점을 둔다. 건반으로 연주하며 화성진행을 이해한다. |
13 | 아동발달심리 | 3 | 아동기의 발달심리에 대한 제반 이론을 학습하여 아동발달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이를 바탕으로 아동교육현장에서 아동발달심리 이론을 적용해본다. |
14 | 음악분석 1 | 3 |
모든 예술작품에는 형식미가 존재한다. 음악의 형식을 이해하는 것은 곡의 이해에는 필수적이다. 다양한 곡의 분석을 통해 보다 체계적으로 작품에 접근하는 방법을 익히도록 한다. |
15 | 피아노 앙상블 문헌 | 2 |
Piano Duo 문헌을 바로크, 고전, 낭만, 20세기 4개의 시대로 나누어 살펴보고 주요 작품을 선택하여 팀을 이루어 다루어본다. 앙상블에서는 서로의 소리에 귀를 기울이며 소리의 조화를 이루고 작품에 대한 파트너와의 소통과 음악적 배려, 호흡 등 다양한 부분에서 고려할 점들이 있음을 이해하고 실제 연주를 하며 연주자로서의 경험과 깊이를 더하고 앙상블을 지도함에 있어 활용할 수 있게 한다. |
16 | 피아노 테크놀로지 | 2 | 컴퓨터 미디 소프트웨어를 교육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미디의 기초적인 사용법, 반주 제작을 배워보는 실습형 수업이다. |
17 | 아트스피치 | 3 |
아트스피치는 말로써 마음에 파동을 일으켜 감동과 설득을 이끌어내는 음악과 스피치의 결합으로 만든 새로운 기법의 스피치이다. 쉽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Basic Skill 학습과 Basic Skill을 활용해 여러 상황에서 이뤄지는 스피치 실습을 주목적으로 한다. |
18 | 피아노연주테크닉 | 2 |
성공적인 피아노 연주 및 교습에 필수적인 테크닉을 탐구하는 과목이다. 피아노 테크닉의 핵심인 양질의 소리를 구사하기 위한 신체적, 정신적 준비 및 과정을 대표적인 저술서와 실질적인 예시를 통하여 집중적으로 연구한다. |
19 | 아동발달과 음악교육 |
3 | 아동의 음악적 발달 및 신체적, 인지적, 사회정서적 발달 등 다양한 발달 측면을 이해하여 이를 음악교육 현장에 올바르게 적용한다. |
20 | 연주와 공연문화 | 2 |
성공적인 연주를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 구성 준비과정에서부터 실질적인 테크닉 연습과정, 자세, 페달링, 기획 홍보, 연주가 완성되기까지 모든 과정을 배우며 다양한 연주 기술을 통해 듣는 능력과 전반적 연주력이 향상되도록 한다. 나아가 관객의 입장에서 공연문화의 흐름을 정확히 파악하는 안목을 가지고 연주자가 연출자와 비평가의 입장으로 관객들의 요구에 부응하고 앞서 나가는 예술적 능력을 겸비하고자 한다. |
21 | 음악분석 2 | 3 | 모든 예술작품에는 형식미가 존재한다. 음악의 형식을 이해하는 것은 곡의 이해에는 필수적이다. 다양한 곡의 분석을 통해 보다 체계적으로 작품에 접근하는 방법을 익히도록 한다. |
22 | 피아노교수법세미나 | 2 | 피아노교수법에 관한 전반적인 지식과 실습을 바탕으로 피아노 교육자의 역량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세미나 형식으로 진행되며 다양한 교수법과 이론적 배경, 실습 및 평가 방법 등을 포괄적으로 다루고, 참여자들이 실제 교육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기술과 전략을 배우는 것을 목표로 한다. |